반응형 일회용품줄이기#다회용컵#다회용기#일회용컵#탄소중립제#무라벨#무라벨생수#플라스틱배출량1 다회용 컵의 진실 코로나19 유행으로 택배, 배달 등이 생활 패턴이 영향을 미치면서 일회용품 사용과 플라스틱 배출량이 눈에 띄게 늘어나게 되었다. 플라스틱과 썩지 않는 비닐은 자연과 인간을 위협하고, 이상기후 현상(폭염과 폭우, 폭설)은 진짜 '위기'가 됐어갔습니다.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것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로 '제로웨이스트'는 일상 속 작은 실천으로 절실히 필요한 때입니다. 일회용품 중 일회용 종이컵과 플라스틱빨대, 비닐봉지 등은 매장 내에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1. 지금 우리는 지난해 말 기준 서울에서는 89곳의 '1회용컵 없는 매장'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서울시청 인근 카페에서 2021년 11월부터 '다회용 컵' 테이크아웃 시범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테이크아웃 음료 주문 시 보증금(1000원)을 음료 값과.. 2023. 1. 8. 이전 1 다음